계장기술(PROCON)

기타 2024년 하반기 13대 주력 산업 전망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23회 작성일 24-08-14 16:16

본문

3. 생 산 : 수출 증가와 내수의 점진적인 회복 영향으로 IT 신산업군의 생산 호조와
소재 산업군 생산의 소폭 증가 예상, 조선은 공급 이슈가 개선되며 큰 폭 성장 기대

(기계 산업군) 내수 부진 및 기저효과로 자동차(1.4%) 생산은 성장세 둔화가 예상되고, 일반기계(-0.1%)는 내수 개선에 따라 생산 감소세가 크게 둔화되고, 조선(24.7%)은 외국인 근로자 숙련 향상에 따라 큰 폭의 생산 확대가 가능할 전망이다.
•자동차 생산은 부품 공급망 불안정 해소에 따른 가동률 상승과 수출 호조세 지속에 따라 하반기 1.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연간으로는 전년 실적 호조에 따른 역기저 영향으로 1.3% 감소할 전망이다.
•조선은 고기술이 필요한 LNG 운반선과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생산이 높은 수준으로 지속되고, 외국인 근로자의 숙련 향상에 따라 하반기 생산이 전년 동기비 24.7% 증가할 전망이며, 연간으로는 22.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기계 하반기 생산은 수출의 증가세가 유지되고, 내수 감소세 둔화로 전년 동기비 0.1% 감소가 예상되고, 연간으로는 전년(-7.8%)
대비 감소폭이 크게 축소된 -1.7%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이다.

b7c840647037ce2c991d8afc144a8792_1723619636_5597.png 

(소재 산업군) 신증설 및 수출 증가 영향으로 석유화학(2.4%) 생산은 증가세 확대, 철강(0.7%)과 정유(0.2%)는 전년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나, 섬유(1.1%)는 하반기 소폭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내 생산 기반 약화 영향에 따라 연간 생산은 감소할 전망이다.
•철강 생산은 하반기 내수가 소폭 개선되나, 건설 투자 위축에 따른 봉형강류의 생산 부진과 저가 수입 철강재 확대 영향으로 하반기 0.7%, 연간 0.1% 증가하며 전년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정유는 국내외 항공유 및 나프타 수요 회복 영향으로 생산이 확대되나, 정제 마진 하락 및 변동성 확대에 따른 보수적 설비 운영으로 하반기 0.2%, 연간 0.3%의 소폭 증가가 예상된다.
•석유화학은 하반기 수출과 내수 증가로 생산 규모가 1,120만 톤을 상회하며, 국내 석유화학 업황이 호조세였던 2022년 상반기 수준까지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고, 하반기에는 전년 동기비 2.4% 성장, 연간으로는 1.6% 증가가 예상된다.
•섬유 하반기 생산은 전년 동기 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 영향으로 1.1% 증가할 전망이나, 첨단 소재 생산 및 투자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내 생산 기반 및 경쟁력 약화에 따른 해외 생산 및 수입 증가에 따라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1.6% 감소가 예상된다.

(IT 신산업군) 국내외 수요 회복으로 정보통신기기(15.4%), 반도체(24.1%), 바이오헬스(20.0%) 생산의 고성장 전망, 이차전지(1.8%)도 신증설 및 수요 둔화세 완화에 따라 하반기 생산은 증가 전환이 예상된다.
•정보통신기기 하반기 생산은 수출과 내수 회복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비 약 15% 증가할 전망이며, 스마트폰·태블릿·노트북PC 등 주요 제품의 해외 생산도 확대될 전망이다.
•가전 하반기 생산은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과 해외 생산 확대, 역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 동기비 1.6% 감소할 전망이다.
•반도체 생산은 반도체 단가 상승과 글로벌 반도체 수요의 점진적 회복에 다른 수출 증가 영향으로 하반기 24.1%, 연간 35.5%의 큰 폭 성장이 예상된다.
•디스플레이 생산은 IT 기기를 중심으로 OLED를 채택한 신제품 출시가 지속되면서 하반기 4.6%, 연간 4.4%의 증가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차전지는 수출 감소세가 유지되고, 세계 전기차 수요 둔화 추세의 완화 가능성, 원통형 배터리 공장 가동 영향으로 하반기 생산의 1.8% 증가 전환이 예상된다. 연간으로는 13.1% 감소할 전망이다.
•바이오헬스 생산은 글로벌 대형 제약사로부터 수주 실적 개선과 주력 수출 품목 관련 공급 확대에 따라 하반기 20.0%, 연간 17.8%의 높은 증가가 예상된다.
4. 수 입 : 하반기 13대 주력 산업의 수입은 수출 증가, 환율 영향 단가 상승 및 저가 수입재 진입 등에 따른 반도체, 자동차 및 기초 소재의 수입 확대로 전년 동기비 7.9% 증가할 전망이며, 연간 3.0% 증가 예상

(기계 산업군) 조선과 자동차는 수입 단가 상승 및 부품 수입 확대로 큰 폭 증가, 일반기계는 전년 수준을 유지하며 기계 산업군 전체로는 하반기 7.6%, 연간 -0.3% 증가할 전망이다.
•자동차 하반기 수입은 수입 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원화 약세에 따른 수입 단가 상승과 부품 수입 증가로 전년 동기비 13.8% 증가(자동차 부품 포함)하나, 연간으로는 3.4% 감소할 전망이다.
•조선 수입은 해외 건조 선박 인수, 해외 기자재 탑재 비중이 높은 가스운반선 생산 증가 및 선체 블록 등의 수입 확대로 하반기 27.3%, 연간으로는 1.3% 증가할 전망이다.
•일반기계 하반기 수입은 제조업 전반의 내수 회복세 미약으로 증가가 제한적이나, 전년 동기 수입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로 1.6% 증가 전환이 예상된다.

(소재 산업군) 소재 산업군 수입은 저가 범용재 확산, 중국 직구 업체의 공격적인 시장 확대 영향으로 하반기 5.9% 증가하고, 연간으로는 2.9% 증가 전망이다.
•철강의 하반기 수입은 중국의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수출 확대와 중국, 동남아 지역에서의 공급 과잉 심화로 인한 저가 수입재 증가 기조가 유지되면서 전년 동기비 9.0% 증가(금액)하고, 연간으로는 0.3% 증가(금액)가 예상된다. 또 물량 기준 수입도 전년 동기비 3.6% 증가한 479만 3,000톤이 예상되고, 2024년 연간 수입은 전년 대비 0.1% 증가한 991만 1,000톤 규모가 예상된다.
•정유 수입은 석유화학제품 생산 확대에 따른 나프타 등의 석유제품 수입 증가로 하반기 2.7%, 연간으로는 6.5% 증가가 예상된다.
•석유화학 수입은 범용 제품군 중심으로 수입 규모가 확대되는 가운데 수입 단가도 소폭 상승하며, 하반기 9.4%, 연간으로는 1.1% 증가 전환이 예상된다.
•섬유 수입은 가격 경쟁력이 높은 중저가 의류 및 섬유 소재 수요의 확대, 중국 직구 업체의 공격적인 시장 확대 및 국내 생산 중단 품목의 수입 대체 영향으로 하반기 4.5%, 연간으로는 3.0% 증가할 전망이다.

b7c840647037ce2c991d8afc144a8792_1723619755_1785.png 

(IT 신산업군) IT 신산업군의 하반기 수입은 국내 IT 산업의 수출 및 내수 확대, 중국 제품의 국내 시장 진입 등의 요인으로 9.1% 증가 전망이나, 이차전지 및 바이오헬스 수입은 단가 하락 및 국내외 수입 여건 악화로 감소가 예상된다.
•정보통신기기 수입은 기저효과와 함께 신규 출시되는 스마트폰 및 노트북·태블릿PC 수요가 증가하면서 하반기 7.7%, 연간 0.1% 증가로 전환이 예상된다.
•가전 하반기 수입은 고환율로 인한 수입 제품 가격 경쟁력 약화에도 불구하고 해외 생산 확대에 따른 역수입 증가, 중국 제품의 국내 시장 진입 확대로 전년 동기비 1.7% 증가했고, 연간으로는 -0.3% 증가할 전망이다.
•반도체 수입은 수출을 위한 웨이퍼 단계의 수입과 내수용 시스템 반도체 수입 증가에 따라 하반기 17.7%, 연간 14.4% 증가가 예상된다.
•디스플레이 하반기 수입은 패널 가격 상승 및 LCD 재수출 물량 확대로 인해 전년 대비 9.2%, 연간으로는 17.1%의 큰 폭 증가가
예상된다.
•이차전지 하반기 수입은 광물 가격 하락에 따른 수입 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년 동기비 10.2% 감소가 예상되며, 상반기 수입 급감의 영향으로 연간으로는 33.1% 감소를 기록할 전망이다.
•바이오헬스의 2024년 하반기 수입은 표적치료제와 같은 혁신 신약 관련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원료의약품 조달 차질과 의료 현장에서의 처방 지연 영향으로 4.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으로는 3.8% 감소할 전망이다.
 

카테고리

카테고리
현재(2019~)

잡지리스트

잡지리스트

이달의 광고업체

이달의 광고업체